1과목
20년 2회 >
1.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으로 롬에 저장.
주로 컴파일(처음에 느리지만 나중에 빨라짐, 반복명령시 사용) 방식 번역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도 성능향상이 가능하다.
2. 파일 압축 프로그램 : 파일압축을 반복한다고 크기가 줄진 않는다.
여러 개의 파일을 압축하며 하나의 파일로 생성하여 파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압축 프로그램에는 분할 압축이나 암호 설정 기능이 있다.
파일 전송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비밀키: 키가 1개이다. 암호화와 복호화의 속도가 빠름.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 크기가 작다.
사용자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DES <--> RSA
4. 방화벽: 출입로를 단일화해서 관리범위를 좁히고 접근제어를 효율적으로 함.
'명백하게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라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사용한다.
방화벽은 네트워크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출입구(케이트웨이) 네트워크 트래픽이 게이트웨이로 집중.
로그정보를 통해 역추적이 가능하다.
5. 특정한 날짜에 백업 주기 예약 가능. 확장자는. bkf이다. 복원 위치 지정도 가능하다.
여러 파일이 백업되있는 경우 일부만 백업할 수 있다.
6. 휴대폰을 모뎀처럼 활용하는 기능으로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IT 기기를 휴대폰에 연결하여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테더링
와이파이 - 근거리 무선 랜, 블루투스 - 두 장치를 무선으로 연결, 와이브로- 무선 광대역 서비스(지역망)
7.
<OSI 7계층>
물리계층: 배선, 커넥터 등의 규격 정의, 신호의 규격 정의(리피터, 허브)
데이터 링크 계층: DTE와 DCE 사이(랜카드, 브리지)
네트워크 계층: IP 계층, 정보 교환, 경로 설정, 중계(라우터)
전송 계층: 종단 간 전송, TCP 계층
대화(세션): 동기화
표현: 부호화, 암호화, 암축
응용- 서비스(TELNET, HTTP, 이메일 - )
브리지: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한다.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통신량을 조절하여 데이터가 다른 곳으로 가지 않도록 한다.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은 게이트웨이다.
브리지는 리피터 역할, 트래픽 감소
라우터: 네트윅 연결, 흐름 제어
8. 다음 중 인터넷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기업들이 외부 보안을 유지한 채 협력업체 간의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옳은 것은? 엑스트라넷(기업 외부망)
인트라넷(기업 내부망), 원거리 통신망(국가 간 통신), 근거리 통신망(학교, 한 건물 내), MAN(도시권 통신망)
9. TCP/IP 프로토콜에서 IP 프로토콜의 개요 및 갸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패킷 주소를 해석하고 경로를 설정하여 다음 호스트로 전송한다 - IP
메시지를 송수신자의 주소와 정보로 묶어 패킷단위로 나뉜다 -TCP
전송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에러를 검사한다. -TCP
네트워크 계층이 IP이고 전송 계층이 TCP이다.
10.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거래 전달 관리 등 전체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멀티미디어 프레임 워크의 MPEG 표준은?
MPEG1 - 일반 시디, 일반 동영상
MPEG7 - 검색 가능, 전자 상거래 기능
MPEG21 - 콘텐츠의 제작, 유통, 보안
11. GIF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으로 8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256색만 지원한다.
간단한 애니메이션 표현이 가능하다.
색상의 무손실 압축 기법을 지원한다.
비트맵 방식으로 이미지를 표현한다.
*JPG: 중복 제거, 손실 압축(복원 시 일부 원본에서 잃어버리는 부분이 있음), 24비트
GIF: 대표적 기법, (무손실 압축), 8비트(256색)
PNG: 둘이 장점을 합친 것
*비트맵(레스터 방식): 점, 확대 시 계단현상, 페인팅(편집), 사실적 표현
-> 포토샵, 그림판, BMP, TIF, GIF, JPG, PNG, PCX
*백터: 선, 면, 확대해도 O, 드로잉(그리는 프로그램)
-> 일러스트레이터, 캐드, AI.DXF.WMF
12. Window 제어판- 장치 및 프린터에 표시는 것.
사용자 컴퓨터, 사운드카드, USB 포트에 연결하는 모든 장치, 컴퓨터에 연결된 호환 네트워크 장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없음. / 장치 관리자에 다 있는데 장치 및 프린터에도 이 정도는 있다.
13. 컴퓨터 제어장치에 있는 부호기(Encorder)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독된 명령어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해독기(Decorder): 명령어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한다.
프로그램 카운터: 다음 순서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기억장치 주소를 기억한다.
보수기: 뺄셈 연산을 위해 음수로 변환한다.
<중앙처리 장치, cpu>
연산장치 - 계산
누산기(연산 결과를 기억), 데이터 레지스터(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기억), 보수기(뺄셈), 가산기(덧셈), 상태 레지스터(값의 상태- 부호, 오버플로, 자리올림 등), 인덱스-베이스 레지스터(주소 계산)
제어장치 - 감시, 해독
프로그램 카운터(다음 명령지 주소), 명령 레지스터(현재 명령 기억), 인코더/디코더(부호 화기, 해독기), MAR, MBR(주소, 명령 기억)
14. 바로가기 아이콘에 관한 설명
바로가기 아이콘을 실행하면 원본 파일이 실행된다.
파일, 폴더뿐만 아니라 디스크 드라이브나 프린터에도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일반 아이콘과 비교하여 왼쪽 아랫부분에 화살표가 포함되어 표시된다.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에 하나의 원본 파일을 연결할 수 있다.
15. 자원 공유에 대한 설명.
공유폴더에 대한 접근 권한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탐색기의 주소 표시줄에 \\localhost를 입력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한 파일이나 폴더를 확인할 수 있다.
탐색기의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파일이나 폴더를 쉽게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공유한 파일명 뒤에 '$'를 붙이면 공유는 했지만 자원을 볼 수 없음. 숨겨짐.
16. 출력장 피인 디스플레이 어댑터(=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에 관련된 용어
-픽셀: 화면을 이루는 최소 단위로서 같은 크기의 화면에서 픽셀 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
-해상도: 모니터 화면의 픽셀 수와 관련이 있으며 픽셀 수가 많을수록 화면이 선명해진다.
--> 색상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님.
-점 간격: 픽셀들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격이 가까울수록 영상은 선명하다.
-재생률: 픽셀들이 밝게 빛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률이 높을수록 모니터의 깜빡임이 줄어든다.
17. 컴퓨터에 사용하는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
플래시 메모리(EEP 롬으로 전기로 내용을 수정)는 비휘발성 기억장치로 주로 디지털카메라나 MP3, 개인용 정보 단말기, USB 드라이브 등 휴대형 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은 EIDE, SATA, SCSI 방식 등이 있다.
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두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여 컴퓨터의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가상 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하여 실제 주 기억 장치 용량보다 기억용량을 확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연관 메모리는 내용의 일부를 주소로 활용해 빠른 접근을 도움.
18. 상용 소프트웨어가 출시되기 전 고객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제작한 소프트웨어로 옳은 것은?
알파버전(회사 내에서 테스트), 베타 테스트(일반인들이 테스트!!), 벤치마크 테스트(사용 환경 그대로를 재현하여 테스트)
데모 버전: 기능 제한 제한해 베포, 패치 버전: 오류 수정, 성능 향상
셰어웨어: 무료 -> 유료 기간 제한, 기능 제한 , 프리웨어: 공개용
19. 수의 표현에 있어 진법에 대한 설명
-16진수는 0~9까지의 숫자와 A~F까지 문자로 표현하는 진법으로 한 자릿수를 표현하는데 4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2진수, 8진수, 16진수를 10진수 실수(float)로 변환하려면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나누어서 변환하려는 각 진수의 자리값과 자리의 지수승을 곱산 결괏값을 모두 더하여 계산한다.
-10진수 정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려면 10진수 값을 변환할 진수로 나누어 더 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까지 나누고, 몫을 제외한 나머지를 역순으로 표시한다.
-8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려면 8진수를 뒤에서부터 2자리씩 자른 후 각각 16진수를 1자리로 계산하면 안 됨.
--> 10진수 혹은 2진수로 변환한 뒤 다시 16진수로 변환
20. windows에서 바탕화면의 바로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
바탕화면에서 <shift>+<F10> 버튼을 누르면 바로가기 메뉴가 표시된다.
바탕화면에 폴더나 텍스트 문서, 압축 파일 등을 새로 만들 수 있다.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 만들기]
삭제된 컴퓨터, 휴지통, 네트워크 등의 바탕화면 아이콘을 다시 표시할 수 없고 해당 개체로 가서 바로가기 만들기 해야 한다.
아이콘의 정렬 기준을 변경하거나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하여 볼 수 있다.
20년 1회 >
1. 사운드 압축 및 복원과 관련된 기술이 아닌 것은?
FLAC - 음원의 훼손이 없게 압축 <--> mp3 - 사람이 느끼지 못하는 주파수 제거
AIFF - CD 구울 때 사용(애플사)
(X) H.264 - 동영상 압축 기술(네트워크 상에서 안정적으로 활용)
WAV - 아날로그 방식으로 저장, 대용량, 장치 독립적 <--> MID: 전자악기의 박자, 빠르기 등 저장 소량, 장치 종속적
<동영상 파일 형식>
AVI - 윈도 표준 동영상 형식
MPEG - 동영상 파일의 표준 규격
DVI - 디지털 TV
MOV - 애플사
ASF, RAM - 스트리밍(전송 + 재생)
DVI X - 비표준 파일 형식
2.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 비선형성
멀티미디어 - 통합 매체, 다중매체(문자, 소리, 그림, 동영상...)
통합성
쌍방향성: 주고받을 수 있음
비선형성: 원하는 곳으로 바로 이동 <---> 선형성: 순서
디지털화
3.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여러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행위
<공격 종류>
스니핑(훔쳐보다): 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
스푸핑(속이다):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키 로커: 키보드의 키 입력 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스미싱(Smishing): sms을 보내면서 정보를 빼앗아감.
피싱(Phishing): 이메일 등을 이용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후 아이디 등을 빼내는 기법
파밍: 브라우저가 가짜 사이트로 접속
웜: 자기 복제 <---> 바이러스:복제, 시스템 파괴 / 백도어: 뒷문, 트랩 도어
스파이 웨어: 사용자 동의 없이 사용자 정보를 수집, 사생활 침해
5. VoIP에 대한 설명
인터넷 IP 기술을 사용한 디지털 음성 전송 기술이다. 원거리 통화 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보다는 요금이 높지만 더 저렴하고 일정 수준의 통화 품질이 보장된다. 기존 회선 교환 방식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 형태로 전송한다.
보컬텍(VocalTEc) 사의 인터넷폰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PC to PC, PC to phone, Phone to Phone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PSDN: 공중 데이터망
6.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베이스들의 모임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데이터를 적절히 이동 배치
-메타 데이터: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어떤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7. 네트워크 프로토콜(통신 규칙, 구문 의미 순서 구성)의 기능
패킷 수를 조정하는 흐름 제어 기능, 송. 수신기를 같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기화 기능,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검출 기능,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연결 문제 해결 가능
8. Tracert 실행
IP 주소, 목적지로 가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에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곳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netstat
9.IPv6
16비트씩 8 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세미콜론(;) 콜론(:)으로 구분한다.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등의 3가지 주소 체계로 나누어진다.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10.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특징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객체 단위로 처리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정해진 절차대로 설계하고 구조와 절차에 중심을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컴파일 , 인터프리터는 분류 기준 X
*원시프로그램 - 컴파일(번역) - 목적 프로그램 - 링커 - 로더(적재) - 실행
컴파일러 | 인터프리터 | |
목적프로그램 | 생성 | 없음 |
번역 단위 | 전체 | 행 |
실행 속도 | 빠름 | 느림 |
번역속도 | 느림 | 빠름 |
관련언어 | 포트란, 코볼, C | 베이직, LISP, APL |
11. ASCII
3개의 존비트와 4개의 디지트 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며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한다.
*BCD: 6비트(존2+디지트4), 64개, 대소문자 구별 못함(대문자만 표현)
ASCII: 7비트(존3+디지트4) 128개, 미국 표준 코드, 통신용 --> 확장 아스키코드(8비트)
EBCDIC: 8비트(존4+디지트4) 256개, 확장 BCD 코드
*해밍코드 - 2 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 비트를 포함한다.
패리티비트 - 에러검출
12.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개의 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억장치나 주변장치를 공유하고, 신뢰성과 연산 능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은? 다중 처리 시스템(여러 cpu->여러 일)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1cpu-> 여러일), 시분할 처리 시스템(시간 분배 여러일)
듀얼 시스템: 두 개의 cpu가 동시에 같은 작업을 수행, 듀플렉스 시스템: 1개의 cpu가 작업 못하면 나머지 한개가 이어서
13. CPU의 제어장치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프로그램의 실행된 명령의 개수를 계산한다. 다음명령의 주소를 기억한다.
명령 레지스터: 현재 실행중인 명령을 기억한다.
부호기: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기억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한다.
14.프린터에서 출력할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스캐너를 이용해 스캔한 파일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해 쓰는 단위는 DPI(Dots per Inch) 인치당 점의 수이다.
*CPS(Character Per Second)- 초당 인쇄되는 문자 수
BPS(Bits Per Second)- 전송 속도, 1초에 전송되는 비트 수
PPM(Paper per Minute)- 분당 페이지 수
LPM(Line per Minute)- 분당 줄수
15.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 설명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자외선으로 수정)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EEP 롬, 전기로 수정)에 저장되어 있다.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먼저 기동되며,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날짜와 시간, 부팅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BIOS - 기본 입출력 시스템, 롬, POST(전원), 시스템 초기화, 시스템 부트
시모스 - 램, 날짜, 시간, 암호, 칩셋 설정, 부팅 순서, 하드 타입
*윈도우 제어판 - 시스템: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한 가상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16. 다음 중 반도체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기억 장치로 크기가 작고 충격에 강하며 소음발생이 없는 대용량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SSD: 반도체를 이용한 하드
HDD : 일반하드(모터를 돌려서 소음 발생) , DVD: 17DB, CD-RW: 읽고 쓰기가 가능한 CD
17. Window 시스템 구성
원도우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이며 문제를 찾아 격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시작모드 중 '선택모드' 진단모드는 기본 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윈도우를 시작한 다음 다시 켤 수 있으므로ㅡ 서비스를 끌떄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부팅 옵션 중 안전부팅의 최소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하여 안전모드로 윈도우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다.
*선택모드: 시스템 서비스로드, 시작항목로드, 원래 부팅 구성 사용
18.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
탐색 창, 미리보기 창, 세부정보 창의 표시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런 기능자체가 없음
숨김파일이나 폴더의 표시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폴더에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떄 색인의 사용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같은창에서 폴더열기/ 새창에서 폴더열기, 한번 클릭 열기/ 두번 클릭 열기. 숨김파일 보기 안보기, 확장자 보기, 안보기, 제목표시줄에 전체경로 표시 유무, 색인 사용 유무(처음만들때 시간걸림, 시스템 디렉토리와 압축파일 포함 유무설정가능)
19. 백업
특정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예약 가능, .bkf 확장자, 복원위치 설정, 백업 자동선택/ 직접 선택
직접 선택한 폴더에 있는 알려진 시스템 폴더(윈도우즈)나 파일도 백업할 수 있다.
--> 직접 선택은 안되고 EEI 시스템 파티션 - 이런 체크항목으로 전체를 선택해 백업할 수 있음.
20. 작업표시줄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크기는 화면의 1/2까지만 늘릴 수 있다.
작업 표시줄의 단추를 작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작업표시줄을 자동으로 숨길것인지 설정할 수 있고, 시작단추는 없앨 수 없다. 검색상자, 작업보기는 없앨 수 있음.
* 잠금 기능 가능, 파워셀로 바꿔주기, 맨 오른쪽 시 바탕화면 미리보기, 배지표시(연락오면 표시), 작업 표시줄 단추를 하나로 표시(작업표시줄이 꽉 찼을때, 항상)
19년 2회>
1.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주는 그래픽 기법은?
--> 렌더링: 완성예상도
*리터칭: 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하는 작업 --> 재편집
모델링 : 모형 제작 / 애니메이션: 만화그림
모핑: 변신기법 / 안티앨리언싱: 계단 현상 방지
스프레드: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어서 대상체가 보이지 않는 형상
디더링: 제한된 색상을 조합해 새로운 색 생성
리딩: 행간격, 줄간격 <---> 커닝: 글자 간격
인터레이싱: 대략적인 모습을 먼저 보여주고 세세한 부분을 표현
필터링: 여러 효과(모자이크, 수체화- )를 적용
2. MP3 파일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
표본 추출률(=샘플링률, 표본화를 하는 과정에서, 높이면 좋음 근데 파일 커짐), 샘플 크기(bit, 더 많은 소리를 나타낼 수 있는데 파일 커짐), 재생 반응(mono/ stereo 공간감적, 파일크기 커짐)
프레임 너비: 영상 하나의 장면
3. 프록시(전처리기) 서버의 기능=방화벽과 캐시기능
4. 바이러스
감염부의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와 파일 바이러스로 구분한다. + 매크로 바이러스, 부트파일 바이러스
사용자 몰래 스스로를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고 정상 프로그래이나 다른 데이터 파일 등을 파괴한다.
주로 복제품을 사용하거나 통신매체를 통해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감염된다.
하드웨어(아예 안켜지게) 소프트웨어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5. 사물인터넷(Iot)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소통하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
스마트 센싱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개방형 정보 공유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 보안 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다.
*스마트 그리드(발전소에서 사용)-전기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6. IPv6 주소체계에 대한 설명
IPv4의 주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16비트씩 8부분으로 128비트이다.
실시간 흐름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
주소는 네트워크 크기나 호스트 수에 따라 A,B,C,D,E 클래스로 나뉜다. 이건 IPv4
A클래스 255.0.0.0 네트워크 주소 하나, 호스트 주소 3개 -> 256*256*256개 ~
7.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설명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각종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이다.
URL의 일반적인 형식은 프로토콜://호스트주소[:포트 번호][/파일 경로]이다.
FTP 계정이 있는 경우 URL은 'http ftp://user_name:password@server_name:port_number' 형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HTTP 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 FTP: 21번 TELNET: 23번
8.프로토콜 기능
통신망에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을 제어해서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유진한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기 사이에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기화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양한 단말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호환성을 제공한다.
*통신 규칙: 오류제어, 동기, 흐름제어, 코드변환, 전송 속도 등
9. 객체 지향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객체지향언어로 C++, java 등이 있다. 상속성,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등의 특징이 있다.
*추상화: 특정 그룹 내의 공통점만으로 사물 인식
캡슐화: 그룹 단위로 판단
상속: 상위그룹 속성을 하위그룹으로 전달
다형성: 여러형태로 변환 가능
10. 다음이 설명하는 Windows 제공기능.
데이터와 데이터를 연결하여 원본 데이터를 수정할 떄 연결된 데이터도 함께 수정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그래픽 프로그램에서 그림을 수정하면 문서 편집기의 그림도 같이 변경된다.
= OLE: 개체 연결 및 삽입
*선점형 멀티태스킹: 여러 작업을 안정적으로
GUI: 그래픽 사용자 연결
PnP: 자동 설정
11. ASCII
각문자 7비트 128개의 문자 표현, 확장은 8비트 사용,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상호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각 나라별 언어를 표현할 수 있다 -> 유니코드(모든 글자를 2바이트)
12.펌웨어 설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간. 롬에 저장.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며 부팅시 동작한다. 업데이트 성능(하드웨어는 업데이트 불가) 향상 가능, 컴퓨터 백신(백신은 램에 저장)과 관련이 있다. 컴퓨터의 연산속도를 빠르게 도와주는 하드웨어이다.(코, 보조 프로세서)
*롬 - 비휘발성, 읽기만 가능, BIOS, 글자 폰트, POST
*램 - 휘발성, 읽기, 쓰기 가능, 현재 작업
13. 메인보드에 사용되는 칩셋에 대한 설명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각 장치들의 역할을 조율한다.
*메인보드, 마더보드: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들이 장착되고 연결되는 기판이다.
버스: CPU와 주변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통로 역활을 한다.
포트: 메인보드에 주변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부분을 말한다.
14. 컴퓨터 보조 기억장치로 사용되는 SSD에 대한 설명
경량화, 소음 적음.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배드 섹터(고장난 부분)가 발생하지 않는다.
*HDD 와 달리 바로 덮어쓰기는 안되고 삭제 후 삽입해야한다. 발열이 낮고 외부 충격에 강하다. 읽기쓰기 성능은 더 빠르다.
블루레이(광디스크)는 650m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능한다.
15. 인터럽트
*외부인터럽트: 전원이 끊어질때, 기계고장, 입출력이 종료될때, 타이머에 의해 의도적 종료.
내부 인터럽트: 오버플로, 언더플로, 0으로 나눌때, 실행할 수 없는 명령어 사용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SVC(감시 프로그램 호출)
16.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은 CPU 내부에서 특정한 목적에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장치이다.
*메모리 중에서 가장 속도가 느리며, 플롭플롭이나 래치등으로 구성된다. -> 빠름.
속도 : CPU > 캐시 > 주기억 > 보조기억 // 이런 레지스터가 모여서 CPU가 된다.
*컴퓨터 유지보수를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 보조 하드에 저장하게됨
시스템 부팅 시 운영체제가 로딩되는 메모리이다. --> D램.
17. NTFS 파일시스템
FAT32에 비해 우수,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엑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한다.
하드디스크의 논리 파티션의(하드 분할)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에 약 400MB이해의 볼륨에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않다.
--> 작은 용량에서는 FAT32를 사용하는것이 낫다.
*기억용량 단위: 바이트 - KB - MB - GB - TB - PB
처리 속도 단위: ms - 마이크로 - ns - ps - fs - as
*FAT32: 2TB까지 인식.
NTFS: 윈도우 XP이후로 주로 사용. 256TB까지 인식. 보안, 안정성이 좋음
18. 윈도우 [관리도구] 중 [컴퓨터 관리]에서 수행가능한 [디스크 관리] 작업에 해당하는 것
볼륨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드라이브 문자를 변경할 수 있다. 포맷을 실행할 수 있다. 활성 파티션 표시.
분석 및 디버그 로그(오류 수정기록)을 표시할 수 없다.
19. 폴더의 [속성]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
문서나 사진, 음악 등 폴더의 최적화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폴더에 대한 사용권한과 공유설정을 할 수 있다. 읽기전용, 숨김.
폴더 아이콘을 (사진으로도 가능) 변경할 수 있다.
폴더안의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20. 윈도우 시스템을 복원할 시기
새 장치를 설치한 후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로그온 화면이 나타나지않으며 윈도우가 실행되지 않을 때,
누락되거나 손상된 데이터 파일을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자고 할 때
*오류 검사: 디스크 논리적, 물리적 오류 검사, 제거
조각모음: 속도 향상, 단편화 제거
--> 파일의 단편화를 개선하여 디스크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떄
공간 늘림: 압축을 해서 공간을 늘려 줌
디스크 정리: 불필요한 파일(휴지통, 임시 인터넷 파일) 삭제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후기]20211120 SQLD 자격증 후기 (0) | 2021.11.20 |
---|---|
[자격증 공부]컴활 필기 IT 버팀목 강의 (2과목) (0) | 2021.11.15 |
[자격증 공부]SQL 기초 배우기/ SQLD 자격증 접수 (0) | 2021.10.24 |
[Notion]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정리 공유 (입문-2021기출) (0) | 2021.10.16 |